2010년 4월 20일 화요일

삼여( 三餘 )

三餘

사람은 누구나 행복하길 원한다.


그러나 사람의 얼굴이 제각각이듯 행복의 기준은 각자 다 다를 수 있다.


꽤 오래전 지인 한 분이 ‘三餘(3여)’ 에 관한 글귀를 이렇게 설명해 주었다.

 

            노랫말 가사 중에 이런 말이 있다.  " 사는게 바빠서 ... "



사람은 평생에 세 가지 여유로움을 즐겨야 한다.


하루는 저녁이 여유로워야 하고,
일년은 겨울이 여유로워야 하며
일생은 노년이 여유로워야 한다.

그는 농부의 삶을 예로 들었다.


고된 하루 농사일을 끝내고

저녁 호롱불 아래 식구들과 도란도란 저녁상을 받는 넉넉함이

첫 번째 여유로움 이며,

봄부터 부지런히 밭을 갈고 씨앗을 골라 심어 가꾸어
풍성한 가을 추수로 곳간을 가득 채운 뒤
눈 내리는 긴 겨울을 보내는 충만함이

두 번째 여유로움이고,

아들 딸 잘 길러 다 결혼시키고
넉넉한 경제적으로 여유로움 속에
아내와 함께 손자 손녀 재롱 보는 노년의 다복함이
세 번째 여유로움이라는 것이다.


여유를 모르는 사람은
배려하는 마음도 부재하다.

배려함이 없으면 아마 느긋함도 있지 않을 것이다.

또한 느긋함이 없는 사람은
참 행복도 모르리라.

현대 사회는 조직과 직장의 룰 속에 살다보면
자기를 점검할 수 있는 여유가 없을 수 있다.

그러나 생활 속의 여유를 통해

자기를 조용히 점검해 보라.


- 여유는 분명 당신의 삶을 기름지게 할 것이다. -

 

 

 

 

 

. 병은 마음으로 고친다. -김홍경 한의학 강좌 중에서

 

http://flvs.daum.net/flvPlayerOut.swf?vid=5E5dbGuyOHY$&ref=pub.paran.com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