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G20 서울 정상회의 폐막, 2010 서울 정상 선언문 전문
http://www.cbs.co.kr/nocut/info/?newscd=1631992
. 연합뉴스 G20 포탈 뉴스
http://www.yonhapnews.co.kr/g20seoul/
. "일단 환율전쟁서 벗어났다. 내년까지 경상수지 가이드라인 마련"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0/11/12/2010111201504.html
. G20 정상 특별 인터뷰
. 미국 오바마 "중국, 시장기초 환율로 가야"
http://www.newspim.com/view.jsp?newsId=20101112000447
. 중국 후진타오 국가 주석 개별 인터뷰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0/11/10/2010111000100.html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0/11/12/2010111201596.html
. 일본 간 나오토 총리 인터뷰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0/11/07/2010110700595.html
요즘 프랑스 대혁명과 오토3세에서 시작되는 중세 유럽의 역사를 계속 탐독하고 있다.
프랑스 ~ !
이 나라는 어쩌면 유럽에 로마제국에 이어 가장 견고히 국가의 틀을 간직한 채, 오랜 세월동안 숙성된, 그들의 포도주처럼이나 강한 향을 발화하는 나라임에 틀림없을, 여러 이야기들을 역사서 속에서 읽고, 그들이 그들의 왕인 루이 16세와 그의 왕비(오스트리아 왕의 자매)를 단두대로 올려놓은 전 세계사를 뒤흔들어 놓은 프랑스 대혁명사 통사를 읽으며 여러가지 생각에 몰두하곤 한다.
한국이란 나라는 그러고 보면 세계사에 전례가 없을 참으로 묘한 나라다.
기존 선진국 대열에 처음부터 들었던 나라도 아니고 지금 서서히 올라오는 신흥 국가에서보다 좀 더 나아진 여러가지 국격을 가진 채, 세계사의 가진자와 못가진 국가군 그 둘 다 적절히 조율해 낼 수 있는 묘한 위치에 한국이란 나라가 엄존한다.
역사적으로 위대한 프랑스 대혁명사를 살펴 보면, 결국 왕과 그를 중심으로 하는 귀족 그리고 화려한 의복으로 치장한 성직자 대열이 전체 국가 농지를 45% 이상 독차지하고 모든 부귀 영화를 누렸다는데 그들의 총 인구 퍼센티지가 불과 1% 였다고 한다.
나머지 99%가 1%의 이익과 생활의 충만을 위해 희생된 불균형에 결국 시민권들은 폭발하여 귀족과 왕족 그리고 성직자 반열을 몰아낸 사건이 바로 프랑스 대 혁명사의 시발점이라고 전한다.
G20 이란 거대한 세계 경제의 주역들, 그들의 인구와 국가 총생산액은 거의 세계 총량의 2/3가 넘는다고 한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어렵고 힘든 소외 국가군을 향해 우리가 몇십년 전 먹을 양식이 없어 보릿고개를 넘던 그 시절에 우리 스스로 일깨우고 스스로 그 자신을 돌보았던 '새마을 운동' 이란 진즉 경험하고 극복하였던 마을 개척 사업과 정신 개조 사업을 세계사에 당당히 제시하고 있다.
그것은 상부층과 잘 사는 측면만 배려하는 것에서 벗어나 총제적인 시각으로 미래 세계 경제사를 잘 배려해, 향후 경제 정책화 하라는 신의 계시가 분명한 증거가 아닐 수 없을 책무가 이 한국 땅에 기운이 충만히 존재하고 있는 것이다.
G20의 성공적인 성과를 간절히 기원한다. 그리고 소외된 모든 가난한 국가군들을 위해 또 다시 배려할 수 있을 사려깊은 성공적인 대회가 되기를 소원드려 본다.
. 오늘 한국이란 국가의 상징은 세계 경제와 희망의 놀라운 증거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0/11/11/2010111102422.html
. 프랑스 엘리제궁을 하염없이 쳐다보는 카를라마니아(Carlamania) 많아져 ...
http://www.asiae.co.kr/news/view.htm?sec=eco99&idxno=2010101514115492923
. 프랑스 영부인 개인 홈페이지
http://www.carlabrunisarkozy.org/
. 칼라 브루니는 21세기 마리 앙투아네트(16세기 루이 16세의 왕비)
http://news.hankooki.com/lpage/people/200807/h2008070102592384800.htm
~ 2010 | 미시간대학교 법학 명예박사 |
---|---|
1988 ~ 1991 | 하버드대학교대학원 법학 박사 |
~ 1983 | 컬럼비아대학교 국제관계학, 정치학 학사 |
1979 ~ | 옥시덴탈대학 |
2009.01~ |
제44대 미국 대통령
|
---|---|
2004 | 미국 일리노이주 민주당 연방상원의원 |
2003 | 일리노이주의회 보건복지위원회 의장 |
1996 | 미국 일리노이주 상원의원 |
1996~2004 | 시카고대학교 법과대학 전임강사 |
1992~1996 | 시카고대학교 법과대학 강사 |
1991 |
하버드 로 리뷰 편집장 일리노이주 인권변호사
|
아르헨티나
크리스티나 페르난데스 대통령 (Cristina Fernandez) 정치인
출생 1953년 2월 19일
공식 사이트 http://www.cristina.com.ar/
브라질
룰라 다 실바 브라질 대통령 (Lula da Silva)
정치인 출생 1945년 10월 27일
2003.01~ 브라질 대통령
1986 브라질 연방하원의원
1978 브라질 철강노조위원회 위원장
캐나다
스티븐 하퍼(22대수상,Stephen Harper)
2006년 취임 의회--39대
~ 1993 캘거리대학교대학원 경제학 석사
캘거리대학교 경제학 학사
멕시코
펠리페 칼데론 대통령 (Felipe Calderon)
정치인 , 1962년 8월 18일생 (멕시코)
하버드대학교케네디대학원 석사
아우또노마대학교
, 2010 서울 정상회담
http://www.seoulsummit.kr/eng/main.g20?menu_seq=main
. [한국경제]- 시인.기업가 등 다채로운 경력의 20개 정상들 이력
http://www.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10111077041
. 100년 된 산삼(山蔘)도 이제 대량 생산이 가능해진다.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0/11/11/2010111100049.html
>>>>>>>>>>>>>>>>>>>>
댓글 없음:
댓글 쓰기